본문 바로가기
육아/슬기로운 육아 생활

아기 농가진 치료 및 등원 기준 - 전염은 언제까지?

by 쏘리치맘 2025. 10. 7.

 

농가진은 아기 피부에 잘 생기는 세균성 피부감염입니다. 보통 포도상구균이나 A군 연쇄상구균이 원인입니다. 보통 빨갛게 오르다가 터지며 꿀색(노란) 딱지가 앉습니다. 얼굴, 특히 코나 입 주변에서 시작해 긁히면 번지기 쉽습니다. 대개 가벼운 감염이지만 전염성이 높아 초기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은 보통 의사가 겉모습만으로도 가능하고, 필요하면 균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목차

아기 농가진 치료 및 등원 기준 - 전염은 언제까지?

 

아기 농가진은 왜 생길까?

 

농가진은 약해진 피부 틈으로 포도상구균이나 A군 연쇄상구균이 들어가서 생기는 감염입니다.

  • 피부 장벽 손상 : 모기 물림, 스크래치, 건조 및 습진(아토피), 기저귀 발진처럼 긁힌 자국이나 미세 상처가 있으면 세균이 쉽게 침투합니다.
  • 콧물, 침 : 코이나 입 주변이 늘 축축하면 피부가 무르면서 감염이 잘 생깁니다.
  • 단체 생활 : 수건, 장난감, 침구 공유와 밀접 접촉으로 인해 전파가 될 수 있습니다.
  • 계절 및 환경 요인 : 더운 날씨, 높은 습도(땀+마찰), 수영장 및 야외놀이 후 깨끗이 씻지 않았을 때 생길 수 있습니다.
  • 코 안 보균 : 가족 중 누군가가 코 안에 포도상구균이 있다면 코와 입 주변에 반복적으로 재발하기도 합니다.

 

농가진은 깨끗하지 않아서 생기는 병은 아닙니다. 깨끗이 씻어도 피부가 약해져 있거나, 단체 생활이나 습한 환경으로 인해 생길 수 있습니다.

 

 

아기 농가진 대처법

  • 손을 비누와 물로 20초 이상 잘 씻고, 농가진이 생긴 부위는 미지근한 물로 부드럽게 세정한 후 완전 건조시켜 줍니다.
  • 수건, 세안타월, 침구는 가족과 분리하여 사용 및 세탁합니다.
  • 아이 손톱을 짧게 다듬어서 긁혀 번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 딱지는 억지로 떼지 않고 자연스럽게 마르도록 두면 좋습니다.

 

 

아기 농가진 치료와 등원 기준

 

병변이 작고 국소적이면 보통 항생제 연고(뮤피로신, 레타파뮬린 등)로 시작합니다.

범위가 넓거나 수포성 농가진, 혹은 열이 있거나 전신에 증상이 있다면 먹는 항생제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를 시작하면 전염력은 24~48시간 사이에 빠르게 줄어듭니다. 그래서 보통은 항생제 시작 후 24~48시간이 지난 후 진물이 멈추고 딱지가 생기면 어린이집 및 유치원의 등원을 상의할 수 있습니다. 단, 기준은 기관 및 지역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담임교사와 함께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아기 농가진이 성인에게도 전염될 수 있을까?

 

네, 농가진은 성인에게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아이의 병변과 직접 피부 접촉을 하거나, 수건 및 침구, 의류 같은 물건을 함께 쓰면 옮을 수 있습니다. 성인이라도 피부에 상처가 있거나, 아토피, 습진처럼 피부 장벽이 약할 때, 간병이나 돌봄으로 인해 접촉이 잦을 때 위험이 높습니다.

 

전염되지 않도록 직접 피부 접촉은 피하고, 개인 물품을 분리해야 합니다. 아이를 돌보기 위해 농가진이 생긴 부위를 직접 만져야 한다면, 만지기 전과 후에 비누와 물로 손을 깨끗이 씻는다면 전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아기 농가진 재발을 줄이는 생활관리

 

농가진은 긁힌 상처나 콧물이 자주 나는 코 주변처럼 피부 장벽이 약해진 곳에서 잘 생깁니다. 씻은 뒤에는 부드러운 보습제로 촉촉하게 유지하고, 코감기가 잦다면 특히 보습을 더 잘 해주시길 바랍니다.

수영장이나 놀이터 모래놀이 후에는 바로 세정하고, 외출 후 손 씻기를 생활화하면 재발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병변이 빨리 퍼지거나 눈, 입 안쪽으로 번질 때, 열이 있거나 아기가 너무 처질 때, 생후 3개월 미만의 신생아라면 지체 없이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항생제가 없는 스테로이드 단독 연고나 민간요법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꼭 의료진 처방과 사용법을 따라주시길 바랍니다.

아기 농가진 치료 및 등원 기준 - 전염은 언제까지?아기 농가진 치료 및 등원 기준 - 전염은 언제까지?아기 농가진 치료 및 등원 기준 - 전염은 언제까지?

 

이 글은 일반 정보이며, 아이 상태는 반드시 진료 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신생아나 면역력이 약한 아이에게는 더 이른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