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이시즘 배아, 이식해도 될까? 이식 선택 가이드 (체크리스트 포함)
시험관 과정에서 PGT-A로 배아를 검사하다 보면, 일부는 모자이시즘으로 분류됩니다. 간단히 말해 같은 배아 안에 정상, 비정상 세포가 섞여 있는 상태입니다. 과거에는 모자이시즘 배아는 쓰지 않는다는 분위기가 강했지만, 최근 데이터는 모자이시즘 배아로도 임신 및 출산이 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다만, 정상배아보다 착상 및 출산율은 낮고, 유산 위험은 높은 경향이 있어 선택과 설명이 중요해졌습니다. 국제단체도 상담을 전제로 신중 선택 가능하다는 쪽으로 정리하는 흐름입니다.
목차
모자이시즘 배아를 사용해도 될까?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정상배아가 없다면 조건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 저수준 모자이크가 고수준 모자이크보다 우선이 됩니다.
- 분절(부분) 모자이크가 전체 염색체 모자이크보다 우선이 됩니다.
- 단순(1개의 염색체) 모자이크가 복합(여러 염색체) 모자이크보다 우선이 됩니다.
이 기준은 임신 가능성과 안전성 사이에서 현실적인 검증을 돕기 위한 합의안입니다. 물론 배아 형태 점수, 개인의 나이 및 난임력, 추가 채취 가능성까지 함께 보며 결정해야 합니다. 대규모 연구들을 종합하면, 모자이시즘 배아는 정상 배아 대비 임신, 출산율이 낮고 유산률이 높다는 경향은 일관되게 확인됩니다. 가능하지만, 정상 임신에 대한 기대치는 낮춰야 합니다.
검사 해석의 한계와 산전진단 계획
PGT-A는 보통 태반을 형성하는 세포인 영양막의 일부를 떼어 검사하기 때문에 배아 전체를 대표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고서의 모자이크 비율은 유형과 참고치일 뿐, 배아 전체가 정확히 그 비율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임신이 확인되면 산전진단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임신 15~16주에 시행하는 양수검사를 확진의 표준으로 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융모막검사나 니프티검사만으로는 태반 국한 모자이시즘 때문에 혼선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밀초음파 추적과 양수검사 중심의 계획이 안전합니다.
모자이시즘 배아 진단시 선택 및 상담을 위한 체크리스트
배아 이식 결정 전에 아래 질문 리스트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모자이크 판정 기준(저수준,중수준,고수준 범위)
- 분절 VS 전체, 단일 VS 복합 중 어떤 유형인지
- 정상배아가 없을 때 재채취와 모자이크 이식의 기대 성공률, 비용, 타임라인
- 임신 시 산전진단 로드맵(양수검사, 초음파검사 주기)
- 유산,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관리법과 최신 수치